[전세계 순위]

[세계 순위]-12. 2025년, 해양 쓰레기 배출량 국가 순위는?

hwangjoo 2025. 5. 7. 16:20

해양 쓰레기

🏭 쓰레기 분리 시스템이 잘 되어 있는 선진국 보다

개발국들의 배출량이 압도적으로 많네요.

그리고 분리수거를 잘 하는

우리나라가 자랑스럽네요 !


📌 참조 : 총 쓰레기 배출량 국가 순위

https://hwangjoo.tistory.com/16


🌊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총 배출량 상위 10개국

2025년 기준,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국가들을 총 배출량과 1인당 배출량 기준입니다.​

이러한 수치는 플라스틱 소비량을 기준으로 하며, 실제 해양 유입량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소득 국가는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이 높지만,

폐기물 관리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어 해양 유입량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반면, 중위소득 국가는 폐기물 관리 체계의 미비로 인해 해양 플라스틱 유입이 많습니다.​

순위
국가
연간 해양 유입 플라스틱 쓰레기량 (톤)
주요 원인 요약
1
필리핀
356,371
강 유출량 많음, 폐기물 관리 부족
2
인도
126,513
인구 밀집, 강수량 많음, 인프라 부족
3
말레이시아
73,098
해안선 길고, 재활용률 낮음
4
중국
70,707
대규모 생산, 일부 지역 인프라 미비
5
인도네시아
56,333
섬 국가, 강 유출 많음
6
미얀마
40,000
폐기물 관리 체계 미흡
7
브라질
37,799
도시화, 해안 도시 집중
8
베트남
28,221
강 유출, 인프라 부족
9
방글라데시
24,640
인구 밀도 높고, 폐기물 처리 미흡
10
태국
22,806
관광 산업,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많음

👤 1인당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 상위 국가

1인당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에 대한 구체적인 순위는 공개된 자료가 제한적입니다.

그러나 일부 국가의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을 통해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순위
국가
1인당 연간 플라스틱 소비량 (kg)
1
마카오
328
2
팔라우
167.8
3
홍콩
167
4
버뮤다
166.8
5
세인트키츠네비스
160.2
6
페로 제도
155.2
7
몰도바
151.1
8
푸에르토리코
132.2
9
아이슬란드
128.9
10
몽골
127.6

출처: World Population Review​World Population Review+1Plastic Bank+1

🇰🇷 한국의 해양 플라스틱 배출 현황

한국은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이 높은 국가 중 하나이지만,

폐기물 관리 및 재활용 시스템이 비교적 잘 구축되어 있어

해양 플라스틱 유입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그러나 해양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인 관리와 정책 강화가 필요합니다.​

바다속 그물

🌊 한국, 미국, 일본, 중국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 순위

순위
국가
연간 해양 유입 플라스틱 쓰레기량 (톤)
주요 원인
4
중국
70,707
대규모 생산, 일부 지역 인프라 미비
8
미국
2,400
플라스틱 소비량 많음, 일부 지역 폐기물 관리 미흡
9
일본
1,840
해안선 길고,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많음
-
한국
공개된 자료 없음
폐기물 관리 및 재활용 시스템이 비교적 잘 구축되어 있음

출처: Visual Capitalist, Aquablu​Aquablu | More than a Water Dispenser

👤 한국, 미국, 일본, 중국 1인당 플라스틱 쓰레기 소비량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에 대한 구체적인 순위는 공개된 자료가 제한적입니다.

그러나 일부 국가의 1인당 플라스틱 소비량을 통해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순위
국가
1인당 연간 플라스틱 소비량 (kg)
1
미국
221
2
일본
69
3
한국
69
4
중국
15.6

출처: OECD, World Population Review​OECD

✅ 마무리

​1.  총 배출량 기준

- 필리핀,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 인도네시아 등이 상위권에 위치하며,

   이는 폐기물 관리 인프라의 부족, 강 유출, 인구 밀도, 강수량 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칩니다.

 

​2. 1인당 배출량 기준

- 마카오, 팔라우, 홍콩 등 일부 소규모 국가들이 높은 소비량을 보이나,

   폐기물 관리 시스템의 효율성에 따라 실제 해양 유입량은 다를 수 있습니다.​

 

3. 정책적 시사점

- 해양 플라스틱 오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폐기물 관리 인프라 개선,

   재활용 시스템 강화,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감소 등의 노력이 필요하며,

   국제적인 협력을 통한 공동 대응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