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한바퀴]

[인생 한바퀴] 이사 時, 체크 리스트 - ② 계약 및 행정 편

hwangjoo 2025. 5. 12. 15:17

📌 참조 : 이사 時, 체크 리스트 - 총론 편

https://hwangjoo.tistory.com/76

📌참조 : 이사 時, 체크 리스트 -  새집 찾기 편

https://hwangjoo.tistory.com/77

📌참조 : 이사 時, 체크 리스트 - ③ 이사 준비 단계 편

https://hwangjoo.tistory.com/79

📌참조 : 이사 時, 체크 리스트 - ④ 이사 당일과 직후 편

https://hwangjoo.tistory.com/80


🏠 집을 새롭게 정해서 이사할 때 준비해야 할 모든 것

 

② 계약 및 행정 단계

1)  계약 시 필수 확인

계약은 단순한 서류 작업이 아니며, 그 내용에 따라 후속 조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을 체결하기 전, 반드시 체크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1. 등기부등본 확인
    • 목적: 등기부등본은 해당 집의 소유권과 관련된 중요한 법적 문서입니다. 집주인이 실제 소유자인지, 혹은 집에 관련된 담보권(예: 대출금)이나 법적 분쟁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확인 사항:
      • 소유자 확인: 집주인의 이름이 실제로 등기부등본에 기재된 소유자와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 담보권: 집에 설정된 담보권(대출금, 채권 등)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계약서에 반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 등기부등본 발급 방법: 등기소에서 발급받거나, 인터넷 등기소(정부24)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전입세대 열람
    • 목적: 전입세대 열람을 통해 해당 집에 입주했던 세입자나 관련된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선순위 세입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순위 세입자가 있을 경우, 계약을 체결해도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확인 사항:
      • 선순위 세입자 여부: 집주인이 이미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세입자가 있는 경우, 해당 세입자가 퇴거하지 않으면 문제될 수 있습니다.
      • 세입자 기록: 전입세대 열람을 통해 해당 집의 이전 세입자와의 계약 종료 여부도 체크해야 합니다.
  3. 계약금 영수증과 특약사항 문서화
    • 목적: 계약금을 지불한 후, 그 영수증을 반드시 확보하고 특약 사항을 계약서에 문서화해야 합니다. 이는 추후 분쟁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절차입니다.
    • 확인 사항:
      • 계약금 영수증: 계약금을 지급했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영수증을 받습니다.
      • 특약 사항 문서화: 계약서에 중요한 사항들(예: 집 상태, 수리 사항, 입주 가능 일자 등)을 특약으로 문서화하여 서로 동의한 사항이 명확하게 남도록 합니다.

2) 계약 후 해야 할 일

계약을 체결한 후, 이사 전에 진행해야 할 행정적인 작업과 준비들이 많습니다. 계약 후의 업무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1. 전입일 및 이사일 확정
    • 목적: 전입일과 이사일을 확정하여, 새로운 집에 이사가는 일정을 계획합니다. 이사일을 정한 후, 해당 날짜에 맞춰 이사 관련 준비를 진행해야 합니다.
    • 확인 사항:
      • 전입일: 전입신고를 할 수 있는 날짜를 확인합니다. 전입일을 정확하게 정해두면, 공과금 명의 이전 및 기타 행정적인 사항들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이사일: 이사 업체와의 일정도 이사일에 맞춰 조율합니다.
  2. 이사 업체 견적 비교 후 계약
    • 목적: 여러 이사 업체의 견적을 비교하여, 가격과 서비스가 적절한 이사 업체를 선택합니다.
    • 확인 사항:
      • 견적 비교: 이사 업체들로부터 견적을 받아보고, 가격, 서비스, 보험 사항 등을 비교합니다.
      • 계약 조건: 이사 업체와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이사 일정, 비용, 보험, 추가 서비스 등에 대한 계약서를 작성하여 확인합니다.
  3. 공과금, 관리비, 통신사 이전 신청 준비
    • 목적: 새로운 집으로 이사 가기 전에 공과금, 관리비, 통신사 서비스 등을 이전해야 합니다.
    • 확인 사항:
      • 공과금 이전: 수도, 전기, 가스 등의 공과금 명의를 변경하고, 정확한 잔액을 확인하여 이사 후 문제가 없도록 합니다.
      • 관리비 정산: 아파트나 오피스텔의 경우, 관리비 명의도 이전해야 하므로 이를 확인합니다.
      • 통신사 이전: 인터넷, 전화, TV 등의 통신사 서비스도 이전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새로운 집에 맞는 서비스가 제공되는지 확인하고 이전 신청을 미리 합니다.

3) 서류 및 계약 후 추가 확인 사항

계약 후, 추가적으로 확인해야 할 서류와 절차가 있습니다.

  1. 주택 보험 가입
    • 목적: 주택 보험에 가입하여 예상치 못한 사고나 손해에 대비합니다.
    • 확인 사항: 집의 화재, 도난, 사고 등에 대비할 수 있는 주택 보험을 계약하여, 이사 후 불안 요소를 줄입니다.
  2. 기타 행정 절차
    • 목적: 이사 전후에 발생할 수 있는 기타 행정적인 절차를 확인하고 처리합니다.
    • 확인 사항:
      • 우편물 주소 변경: 우체국에 주소 변경 신청을 하여, 이전 집으로 오는 우편물이 새 집으로 전달되도록 합니다.
      • 정부24 전입신고: 전입신고를 정부24를 통해 미리 진행하면, 입주 후 공공서비스나 우편물 수령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계약 및 행정 단계는 이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법적 절차와 준비 사항들이 포함된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 실수나 미비가 생기지 않도록 꼼꼼하게 체크리스트를 따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