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순위]

[세계 순위]-20. 2024년, 텅스텐 보유 국가별 순위 ? 한국, 일본, 중국은? 세계8위, 텅스텐 부국인 한국의 비극적 현실 !!

hwangjoo 2025. 5. 7. 17:19

텅스텐 원석

영월 상동 광산

🌍 텅스텐 ⛏️

주기율표에서 기호 W, 원자번호 74번에 해당하는 전이 금속 원소로, 극도로 단단하고 녹는점이 높은 금속으로 유명합니다. 한자로는 중금속(重金屬)이라는 뜻의 중석(重石)에서 유래했으며, 산업 전반에서 핵심 소재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 기본 정보

원소 기호 W (독일어 Wolfram에서 유래)
원자번호 74
원자량 약 183.84 g/mol
밀도 19.25 g/cm³ (금보다 무겁다)
녹는점 3,422℃ (모든 금속 중 가장 높음)
끓는점 약 5,555℃
경도 매우 단단함 (모스 경도 약 7.5~8)

🏭 주요 용도

금속 가공 산업 절삭 공구, 드릴 비트, 밀링 날 (텅스텐 카바이드: WC 형태로 많이 사용됨)
전자기기 전구 필라멘트, 진공관, 전자빔 장비
군사/방위산업 고속 탄환, 탱크 포탄, 방탄판
항공/우주 항공기 균형추, 고온 엔진 부품
의료·영상 방사선 차폐용 X선 차폐판, CT 장비 내 부품 등

📌 참조 : 대장암 사망률 순위  

https://hwangjoo.tistory.com/34

📌 참조 : 위암 사망률 순위  

https://hwangjoo.tistory.com/35

📌 참조 : 췌장암 사망률 순위  

https://hwangjoo.tistory.com/33

📌 참조 : 폐암 사망률 순위

https://hwangjoo.tistory.com/28


🌍 2024년 텅스텐 보유 국가 순위 ⛏️

텅스텐은 높은 밀도와 융점으로 인해 반도체, 전기차, 방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희소 금속입니다.

특히 중국이 생산과 보유량 모두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으로 주요 국가들의 텅스텐(Tungsten) 자원 보유량 순위를 정리하였습니다.

1. 🇨🇳 중국

  • 매장량: 약 180만 톤
  • 생산량: 2024년 기준 약 6만 7천 톤으로 세계 생산량의 80% 이상을 차지합니다.
  • 특징: 세계 최대의 텅스텐 생산국이자 보유국으로, 글로벌 공급망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2. 🇻🇳 베트남

  • 매장량: 약 9만 5천 톤
  • 생산량: 2024년 기준 약 3,400톤
  • 특징: 중국 외 지역에서 가장 큰 텅스텐 생산국 중 하나로, Nui Phao 광산을 중심으로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3. 🇷🇺 러시아

  • 매장량: 약 5만 톤
  • 보유량: 정확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세계 상위권으로 추정됩니다.
  • 특징: 풍부한 광물 자원을 바탕으로 텅스텐 생산 및 보유량에서도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4. 🇧🇴 볼리비아

  • 매장량: 약 4만 톤
  • 특징: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텅스텐 생산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5. 🇵🇹 포르투갈

  • 매장량: 약 2만 6천 톤
  • 특징: 유럽 내 가장 활발한 텅스텐 생산국 중 하나.

6. 🇦🇹 오스트리아

  • 매장량: 약 1만 톤
  • 특징: 유럽 내에서 텅스텐 생산과 보유량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7. 🇵🇪 페루

  • 보유량: 정확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세계 상위권으로 추정됩니다.
  • 특징: 남미 지역에서 텅스텐 자원 개발에 적극적인 국가 중 하나입니다.​

8. 🇰🇷 대한민국

  • 매장량: 약 8천 톤, 이는 세계 최대 단일 광산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 특징: 1990년대 초반 가격 경쟁력 문제로 상동 광산이 폐쇄되었으나, 최근 재개발이 진행 중이며, 향후 글로벌 텅스텐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9. 🇺🇸 미국

  • 매장량: 약 6천 톤
  • 특징: 국내 자원 개발과 함께 수입을 통해 텅스텐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10. 🇪🇸 스페인

  • 매장량: 약 5천 톤
  • 생산량: 2024년 기준 약 500톤
  • 특징: 유럽 내에서 텅스텐 생산국으로서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1. 🇨🇳 중국의 텅스텐 자원 현황

중국은 보유량 약 180만 톤으로 2024년 기준 약 6만 7천 톤으로 세계 생산량의 80% 이상을 차지합니다

2. 🇰🇷 한국의 텅스텐 자원 현황

한국은 과거 상동 광산을 통해 세계적인 텅스텐 생산국으로 자리매김했으나, 1990년대 초반 가격 경쟁력 문제로 광산이 폐쇄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상동 광산의 재개발이 진행 중이며, 약 5,800만 톤의 매장량을 바탕으로 향후 세계 텅스텐 공급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 일본의 텅스텐 자원 현황

일본은 국내에 상업적으로 활용 가능한 텅스텐 매장량이 거의 없으며, 대부분의 수요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본은 텅스텐을 포함한 희소 금속의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마무리

중국이 텅스텐 자원의 생산과 보유량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상동 광산 재개발은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와 안정성 확보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또한, 일본과 같은 자원 수입 의존 국가들은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한 전략적 대응이 요구됩니다.​

텅스텐은 반도체, 전기차, 방산 등 첨단 산업에서 필수적인 자원으로, 향후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따라서 각국은 텅스텐 자원의 확보와 공급망 안정성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텅스텐 보유 부국인 한국의 비극적인 현실 ⛏‍♀️

그 광산은 대한민국 소유가 아니다 !!!

강원도 영월군에 위치한 상동 텅스텐 광산은 현재 캐나다 광산개발 전문기업인 알몬티 인더스트리즈(Almonty Industries Inc.)가 100% 소유하고 있습니다.

이 광산은 단일 광산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텅스텐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을 제외한 세계 텅스텐 공급의 약 50%를 생산할 잠재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

⛰️ 영월 상동 광산 소유권 이전 배경 ⛰️

1. 공기업에서 민간으로의 매각

- 상동 광산은 원래 국영기업인 대한중석이 소유하고 있었으나, 1992년 채산성 악화로 폐광된 후 민영화 과정을 거쳤습니다.

이후 민간 기업인 대우인터내셔널이 소유하게 되었지만, 포스코와의 인수합병 과정에서 광산 부문이 제외되면서 매물로 나왔습니다

2. 국내 투자 부진과 외국 기업의 적극적 투자

- 당시 상동 광산은 재개발을 위한 막대한 투자와 전문성이 필요했으나, 국내 기업들은 투자에 소극적이었습니다.

반면, 캐나다의 알몬티는 텅스텐 광산 개발에 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투자 의사를 밝혔고,

결국 2015년에 광산의 소유권을 획득하게 되었습니다 .

3. 현재 상황과 시사점

알몬티는 상동 광산의 재개발을 위해 최소 7,500만 달러(약 1,040억 원)를 투자하고 있으며,

채굴된 텅스텐의 45%는 미국에, 55%는 한국에 공급될 예정입니다 .​

이러한 상황은 한국이 자국 내에 세계 최대 규모의 텅스텐 광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 기업이 이를 소유하고 운영하게 된 현실을 보여줍니다.

자원 안보와 전략적 자원 확보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는 현재, 이러한 사례는 향후 자원 개발 및 관리에 있어

국가 차원의 전략 수립과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