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속보] 금강산, 북한 3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대한민국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 (총 17건)

hwangjoo 2025. 7. 13. 20:19

 

보시면서 광고도 클릭하시고 복 받아 가세요 ^^

유네스코, 금강산 세계유산으로 선정..북한 3번째

2025년 7월13일, 금강산(Mount Kumgang)이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 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는 속보가 나왔습니다.

이로써 북한은 이제 총 3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다음은 북한이 보유한 3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정보입니다.

 

📌참조 :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수가 많은 국가 TOP 30

번호
등재명
등재 연도
유형
설명
1
고구려 고분군
2004년
문화유산
평양과 남포 일대에 분포하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들로, 동명왕릉, 강서삼묘, 안악 3호분 등이 포함됩니다. 고구려 문화의 예술적, 건축적 특징과 당시 생활상을 보여주는 벽화들이 높은 가치를 지닙니다.
2
개성 역사유적지구
2013년
문화유산
고려 왕조의 수도였던 개성의 역사적 유적들을 포함합니다. 만월대(궁궐 터), 개성 성균관, 선죽교, 왕건왕릉, 공민왕릉 등 고려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군입니다.
3
금강산 (금강산 자연경관 및 불교 유적)
2025년
복합유산
한반도의 대표적인 명산으로, 수려한 자연 경관(기암괴석, 폭포, 봉우리 등)과 더불어 불교 유적들이 어우러진 가치를 인정받아 등재되었습니다. 아름다운 자연과 오랜 불교 문화가 공존하는 복합적인 가치를 지닙니다.

▶ 유형

- 금강산은 자연과 문화적 가치를 동시에 인정받아 복합유산으로 등재된 것으로 보입니다.

- 뉴스 기사에 "자연경관 및 불교 유적"으로 언급

▶ 의미

- 금강산의 등재는 북한에게 세 번째 세계유산이자, 자연과 문화의 복합적인 가치를 인정받은 첫 사례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또한, 남북한 모두 2025년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각각 '반구천의 암각화'와 '금강산'이 등재되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2. 대한민국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 (총 17건)

 

1) 문화유산 15건

번호
등재명
등재 연도
설명
1
석굴암과 불국사
1995년
통일신라 시대의 불교 예술을 대표하는 걸작으로, 석굴암은 동양 불교 예술의 정수라 불리며 불국사는 한국 사찰 건축의 전형을 이룹니다.
2
해인사 장경판전
1995년
고려대장경판(팔만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과학적으로 설계된 건축물로, 목판의 보존에 최적화된 독창적인 보존 기술과 건축 양식을 보여줍니다.
3
종묘
1995년
조선 왕조의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유교 사당으로, 가장 오래되고 온전하게 보존된 유교 건축물 중 하나입니다. 현재까지도 제례 의식이 보존되어 전승되고 있습니다.
4
창덕궁
1997년
조선 왕조의 궁궐 중 유일하게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궁궐로,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한 한국 건축의 특성을 잘 보여줍니다.
5
수원 화성
1997년
조선 후기 정조대왕이 축조한 계획도시의 성곽으로, 동서양의 축성술이 조화롭게 결합된 독창적인 방어 시설이자 건축물입니다.
6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
2000년
청동기시대 묘제 및 거석문화의 독특한 양식을 보여주는 유적으로, 전 세계 고인돌의 절반 이상이 한반도에 분포하며, 이 세 지역의 고인돌군은 특히 밀집도와 다양성에서 탁월한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7
경주 역사유적지구
2000년
신라 천 년의 역사를 간직한 도시 경주의 다양한 유적을 아우르는 지역으로, 신라의 불교 미술, 왕릉, 궁궐 터 등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8
조선왕릉
2009년
조선 왕조 역대 왕과 왕비, 추존 왕과 왕비의 무덤 40기로, 유교와 풍수 사상에 기반한 독특한 건축 및 조경 양식을 보여주며, 현재까지도 제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9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
2010년
조선시대 씨족 마을의 전형적인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는 유적으로, 전통 건축 양식과 생활양식, 유교적 문화유산이 현재까지도 살아 숨 쉬는 곳입니다.
10
남한산성
2014년
7세기부터 19세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축성 기술이 집약된 산성으로, 유사시 임시 수도 역할을 수행했던 방어 체계의 진수를 보여줍니다.
11
백제역사유적지구
2015년
백제 후기(사비시대)의 수도였던 공주, 부여, 익산에 걸쳐 있는 8곳의 유적으로, 고대 동아시아 문명 교류의 중요한 증거이자 백제 왕조의 문명 발달 수준을 보여줍니다.
12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18년
7세기부터 현재까지 한국 불교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7개의 산지 사찰(통도사, 부석사, 봉정사,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로, 한국 불교의 살아있는 역사를 보여줍니다.
13
한국의 서원
2019년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조선시대 교육 및 성리학 발전에 기여한 9개 서원(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으로, 유교 문화의 이상을 담은 건축과 조경의 조화를 보여줍니다.
14
가야 고분군
2023년
1세기부터 6세기까지 존재했던 가야 연맹의 고분군 7곳으로, 주변국과 독립적이고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발전한 가야의 독자적인 문명을 보여줍니다.
15
반구천의 암각화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2025년
신석기시대부터 신라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시대의 바위 그림과 명문이 새겨진 유적으로, 특히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고래와 해양 문화를 생생하게 묘사한 선사시대 예술의 걸작으로 평가받습니다.

 

2) 자연유산 2건

번호
등재명
등재 연도
설명
1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2007년
한라산,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화산활동의 다양한 지형과 희귀한 동식물상을 보여주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지질학적 가치를 지닙니다.
2
한국의 갯벌
2021년
서남해안에 위치한 4개 갯벌(서천, 고창, 신안, 보성-순천)로 구성된 연안 습지로, 세계적으로 중요한 생물다양성의 보고이자 멸종위기 철새들의 주요 서식지로서 뛰어난 생태학적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13_0003249688

 

한민족의 명산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북한 세 번째

[서울=뉴시스]김주희 기자 = 한민족의 대표 명산 '금강산'이 북한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인정받았다.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고 있는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3일(현지시간) 금강산을 세계유

www.newsis.com

https://www.fnnews.com/news/202507131733332441

 

유네스코, 금강산 세계유산으로 선정..북한 3번째

 

www.fnnews.com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28390640&code=61171111&cp=nv

 

금강산, 북한 3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한민족 명산으로 꼽히는 금강산이 북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선정됐다.금강산 등재를 신청한 지 약 4년 만이다. 이번 등재로 북한 세계유산은 3건으로 늘어났

www.kmib.co.kr